신선한 미풍
[스크랩] 송강 정철의 외설 시조 본문
♣ 松江 鄭澈의 時調 ♣
![]()
- 우리 時調로 유명한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대가 정철
鄭澈(1536-1593), 호는 송강(松江)인데 점잖은 그에게
외설시조도 남아있다.
외설시조이다. 귀양살이하는 정철 선생이 달 밝은 밤 적막한 처소에서
혼자 누워 있는데 오동잎 지는 소리는 스산하고 귀뚜라미의 처량한
울음 소리가 그를 더욱 쓸쓸하게 하였습니다.
밖에서 나즈막한 인기척이 들리는가 싶더니 조심스럽게 문 두드리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장옷으로 가린 한 여인이 고개를 다소곳이 숙이고 들어섰습니다. 달밤에 보는 지붕 위의 박꽃처럼 여인은 너무나 고왔습니다. 그가 바로 기생 眞玉이었습니다. 두 사람이 술상을 마주 하고 앉은 그날밤, 송강 선생께서 은근한 음성으로 진옥에게 말했습니다. "예, 그리하지요." 기생 진옥의 가야금 반주에 맞춰 송강 선생께서는 목청을 가다듬어 한가락의 시조창을 읊었습니다. "玉이 玉이라커늘 번옥(燔玉)만 여겼더니 이제야 보아 하니 眞玉일시 분명하다. 나에게 살송곳 있으니 뚫어볼가 하노라." 이 시조를 요즈음의 말로 풀이 하면 대충 이렇습니다. 이제야 자세히 보니 참옥(眞玉)임이 분명하구나. 나에게 살송곳 있으니 뚫어볼까 하노라." (여기서 살송곳이란 남성의 심벌을 의미) 송강의 시조 창이 끝나자 지체 없이 진옥이 받았습니다. 나에게 골풀무 있으니 녹여볼가 하노라." 풀이하면 "쇠라 하기에 섭철 (잡다한 쇳가루가 섞인 쇠)로만 여겼더니, 이제야 자세히 보니 정철(正鐵 松江은 鄭澈임)임에 틀림 없구나. 나에게 골풀무 있으니 그 쇠를 녹여볼까 하노라" (골풀무란 쇠를 달구는 대장간의 풀무로서 여기서는 여자의 중요한 곳을 의미) 보냈다고 합니다.
|
'웃고 보고 듣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맑은구름 님의.. "자연속의 아프리카" 입니다~! (0) | 2009.11.16 |
---|---|
[스크랩] 자연의 조화 (0) | 2009.11.16 |
Fantasy (0) | 2009.11.14 |
벙어리 아줌마와 눈치 빠른 아자씨 (0) | 2009.11.14 |
[스크랩] 엽기사진 모음..ㅋㅋㅋ (0) | 2009.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