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한 미풍

九天 九泉 과연 구천이 뭘까? 본문

일기형식

九天 九泉 과연 구천이 뭘까?

어둠의골짜기 2010. 11. 4. 21:07

 

 

 

구천

 

사전적 의미를 우선 살펴보고자 한다.

 

구천[九天]

문화원형 백과사전

구중천[九重天]. 전설에 따르면 하늘에는 아홉 층이 있는데, 그 아홉 번째가 천제[天帝]가 살고 있는 곳이라고 함.
 
<국어사전>
그럼, 천제란 무슨 뜻일까요? [종교] 같은 말: 하느님

 

그럼, 하느님이란 무슨 뜻일까요??

<국어사전>

1 [종교]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서 각각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불가사의한 능력으로써 선악을 판단하고 길흉화복을 인간에게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비슷한 말들의 의미는, 모두다 하느님이라고 하네요. 사전상에, 크고 넓은 하늘 이란 의미로도 쓰이네요.
그래서, 인간은 신을 보거나 만나거나 하지 못하기에, 일부 육통신을 이루신 분들이나, 아라한의 경지에 이른, 금강역사라면,
보고 대화하고 저승의 세계에 사는 분들을, 뵐수 있는 능력이라면, 모르지만,
일반 백성들은, 하늘과 자연을 신이라 칭하시었나 보네요.
 
 
 

 

<국어사전>
[九泉][명사] [불교] 땅속 깊은 밑바닥이란 뜻으로, 죽은 뒤에 넋이 돌아가는 곳을 이르는 말.

구천[九天]
1 가장 높은 하늘. 
 
2 하늘을 아홉 방위로 나누어 이르는 말. 중앙을 균천(鈞天), 동쪽을 창천(蒼天), 서쪽을 호천(昊天), 남쪽을 염천(炎天), 북쪽을 현천(玄天)이라 하고 남동쪽을 양천(陽天), 남서쪽을 주천(朱天), 북동쪽을 변천(變天), 북서쪽을 유천(幽天)이라 한다.
 
3 같은 말: 궁중(宮中).
균천[鈞天]  구천(九天)의 하나. 하늘의 중앙으로, 상제(上帝)의 궁(宮)을 이른다.
창천[蒼天]  맑고 푸른 하늘. 사천(四天)의 하나. 봄 하늘을 이른다. 구천(九天)의 하나. 동쪽 하늘을 이른다.
호천[昊天]  넓고 큰 하늘. 사천(四天)의 하나. 여름 하늘을 이른다.
염천[炎天]  몹시 더운 날씨. 구천(九天)의 하나. 남쪽 하늘을 이른다.
현천[玄天]  구천(九天)의 하나. 북쪽 하늘을 이른다.
양천[陽天] 구천(九天)의 하나. 남동쪽 하늘을 이른다.
주천[朱天] 구천(九天)의 하나. 남서쪽 하늘을 이른다.
변천[變天] 구천의 하나. 북동쪽의 하늘을 이른다.
유천[幽天] 구천(九天)의 하나. 북서쪽 하늘을 이른다.
 
4 [불교]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아홉 개의 천체. 일천(), 월천(), 수성천(), 금성천( ), 화성천(), 목성천(), 토성천(), 항성천(), 종동천()이다.
 
 
<한자사전> ※구천[九天]=구중천[九重天]
①중앙(中央) 및 사방, 사우(四隅)의 하늘을 일컫는 말 ②하늘의 가장 높은 곳. 하늘 위 ③대지(大地)를 중심(中心)으로 한 아홉 하늘
※구천[九泉]
①죽은 뒤에 넋이 돌아간다는 곳 ②땅 속
[불교] 땅속 깊은 밑바닥이란 뜻으로, 죽은 뒤에 넋이 돌아가는 곳을 이르는 말.

 

[유의어] ☞ 구천지하(九天地下), 구천지하(九泉地下), 천양(天壤), 황천(黃天)이란,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곳, 저승.

☞천양이란, 하늘과 땅이란 뜻, 그럼, 유의어는, 아주 많다. 봅시다.

구원(), 구천(), 명국(), 명조(), 시왕청(), 유계(), 유도(), 유명(), 음부(), 중천(), 지부(), 천대(), 현택(), 황로(), 황양(), 황천(), 황토()

 

황토(黃土)  ①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령(魂靈)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世上)

황천(黃天)이란,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곳, 저승.

황로(黃擄)  저승.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천대(천대) =구천(九遷) 아홉 구자와 옮길 천자가 합쳐진 글자. 구천,

중천(重泉) =저승.

지부(지부) =저승.

음부(음부) =축복(祝福) 받지 못한 사람이 죽어서 가는 곳.

유명(幽冥) =그윽하고 어두움. 저승. 유명계(幽冥界) . 유명계란, 신불(神佛)이 있는 세계(世界) ☜[한자사전]

★신불[神佛]   신령(神靈)과 부처  ☞<한자 사전>

고사성어,단어 검색결과 (1-5 / 총 72개)
信佛신불  
①부처를 믿음 ②믿고 있는 부처
神佛신불  
신령(神靈)과 부처
假現가현  
신불이 사람의 형상(形像)으로 잠시(暫時) 이 세상(世上)에 나타남
加護가호  
①보호(保護)해 줌 ②신불이 힘을 베풀어 잘 비호(庇護)해 줌
感得감득  
①감감하여 얻음 ②영감(靈感)으로 깨달아 얻음 ③믿는 마음이 신불에 통(通)하여 바라는 것을 얻음

유도(幽都)= 저승. 여기서 도(都) 자는, 고을이란 뜻. 마을. 도읍

유계(幽界) = 저승.

시왕청(十王廳)  ①(저승에서)시왕이 거처(居處)한다는 곳 ②저승. 명부(冥府). 자는, 관청이란 뜻.

명조(冥曹) =저승. ☞조(曹)자는, 마을이란 뜻이네요. 즉, 어두운 마을이네요. 하~!

명국(冥國) =저승.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구원(九原)= 구천(九天), 저승.

 

[예문]

구천과 이승을 넘나드는 혼령

종소리가 구천에 울려 퍼지다.

천한 이 몸을 감싸 주시고 죄를 묻지 않으시니 구천에 가서도 그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

죽어서 구천을 떠돌다.

 

<영어사전 단어 검색결과 ( 1-2 / 총 2개)>

 

  • 구천

    1 the highest heavens   2 the nine celestial bodies  

  • 1.  가장 높은 하늘   2. 9개의 하늘의(천국의) 몸체들.

  • 구천

    1 Hades   2 the nether world[regions]  

  • 1. 죽은 사람의 나라. 저승. 황천,  하데스는 Pluto(저승의 신), (영역 성서의 히브리어의 Sheol의 역어로서) 황천.저승. 무덤.

  • 2. 또 다른 세상[종교]

 
<일어사전 단어 검색결과 ( 1 - 2 / 총 2개 )>
구천 
고대 중국에서 하늘을 9개의 방위로 나눈 명칭.
 
구천
깊은 지하.

※ 대충 이러한 의미가 있네요.

구천이란, 단어가 중국에서 왔네요. 일본어 사전 상에 보면,

쉽게 말하면, 저승이네요.

성서에서도 황천. 저승이란 뜻으로 쓰네요. 히브리인들. 예수도 히브리인이시죠.

성서상에, 음부라는 말이, 곧 저승이었네요.

 

해서, 구천이라고 하면, 보통 구천을 떠돈다........해서, 우리가 저승이라고 하면, 무서운 이미지를 연상합니다만,

곧, 우리들 모두가 죽습니다. 육체가 죽죠. 영자체인 영혼의 빛으로 둘러싸인 영체로 사는 세상이 바로 저승이네요.

이왕지사 갈거면, 제대로 돌아가서, 극락으로 가야겠죠.

유계의 일부분의 세계인, 지옥계의 여러 세계가 아닌, 극락으로 말이죠.

극락은,

유계, 영계, 신계, 보살계, 여래계, 우주계(태양계)가 있습니다. 이말은, 고 다카하시 신지님의 말씀이십니다.

이 분은, 우주계에 계신 분이십니다. 예수 그리스도 역시 우주계에 있습니다.

보통, 여래계라고 하면, 부처님들의 사시는 세계죠. 부처라면, 곧 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신의 의식을 모든 것을 행하는, 자비와 사랑의 그 자체인 분들. 최고의 경지이죠.

아~

유계라고 하면, 으시시하고 무서운 생각을 하시는데, 유계도 역시 극락입니다.

유계의 일부분에, 지옥계가 있습니다.

지구도, 알고보면, 지옥계입니다. 왜냐면, 지박령, 자박령들과 지옥령, 동물령들이 교회나 절이나 기타 장소에,

지옥을 형성하고 있지요.

그래서, 교통사고 사망다발지역, 익사사고, 늘 안좋은 사고가 많은 집, 터, 어떠한 사람을 아프게 하는 장소들.

등등..................많죠. 현실에서,

 

나는, 그리고 당신은,

현재 마음에 극락(평안)에 있나요?

아니면, 지옥(괴로움)에 있나요?  이왕이면, 평안함이 충만하시길 바랍니다.

고 다카하시 신지님의 말씀에 의하면, 신이란, 대의식이라 표현하십니다.

...

이 문장에서, 한국어 사전에, 신불이란 단어가 나오네요. 저는 일본에서만, 사용하는 단어인줄 알았어요.

 ....

 

'일기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안한 내 블로그의 글쓰기   (0) 2010.11.14
靈媒- 영매  (0) 2010.11.11
아름다움과 추함  (0) 2010.11.03
  (0) 2010.11.01
내 육체에서 가장 나를 곤란케하는 것은.   (0) 2010.10.2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