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한 미풍
포정해우[庖丁解牛]-솜씨가 뛰어난 포정이 소의 뼈와 살을 발라낸다! 본문
庖丁解牛포정해우 《한자사전》
솜씨가 뛰어난 포정(庖丁)이 소의 뼈와 살을 발라낸다는 뜻으로, 기술이 매우 뛰어남을 비유하는 말
이 말에 대한 내용을 조금 찾아 보았다. 다음과 같다.
문화 > 오피니언
포정해우!!!
포정이 소 잡는 기술은 최고의 기술이다!!
박재희
중국 전국시대에 소를 잡는 최고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 사람들은 그를 포정(庖丁)이라고 불렀다. 어느 날 포정이 궁정 잔치에 쓰일 소를 잡고 있었다. 그런데 그의 소 잡는 기술이 얼마나 신기에 가까웠던지 그 모습을 지나가다 우연히 보게 된 왕은 너무 감탄하여 그에게 물었다.
‘어떻게 하면 소 잡는 기술이 이와 같은 경지에 이를 수 있는가?’ 포정은 칼을 놓고 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제가 처음 소를 잡겠다고 했을 때는 소의 겉모습만 보였습니다. 그런데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지 3년이 지나니 어느새 소의 겉모습은 눈에 띄지 않고 소가 부위별로 보이게 되더군요. 그리고 또 19년이 흐른 요즘 저는 눈으로 소를 보지 않습니다.
마음의 눈을 뜨고 소의 살과 뼈 근육 사이에 틈새를 봅니다. 그리고 그 사이로 칼을 지나갑니다. 이런 기술로 아직 한 번도 칼질을 실수하여 살이나 뼈와 부딪힌 적이 없습니다.
평범한 백정은 달마다 칼을 바꾸는데, 이는 칼로 무리하게 뼈를 가르기 때문입니다. 솜씨 좋은 백정이 1년 만에 칼을 바꾸는 것은 칼을 가지고 소의 살을 베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칼은 19년이나 되어 수천 마리의 소를 잡았지만 칼날은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소의 뼈와 살 근육 사이에는 어쨌든 틈새가 있기 마련이고 그 틈새로 칼날을 집어넣어 소를 잡기 때문에 칼날은 전혀 무뎌지지 않는 겁니다. 이것이 19년이 되었어도 칼날이 방금 숫돌에 간 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장자(莊子)》에 나오는 이야기다. 일명 ‘포정(庖丁)의 소를 잡는 최고의 솜씨’란 뜻의 ‘포정해우(庖丁解牛)’의 고사성어다.
포정이 처음 백정이 되었을 땐 그저 소리만 요란하게 소를 잡겠다고 대들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랜 시간과 각고의 노력으로 최고의 경지에 올랐을 때 그는 소의 겉모습이 아닌 뼈와 살 사이에 있는 공간의 이치를 보았던 것이다.
어느 분야에서든 누구나 최고를 꿈꾼다. 그러나 최고가 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손자 병법에서는 최고의 경지에 오른 고수(高手)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첫째 그에게는 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무게가 있다(不動如山[부동여산]). 아직 덜 익고 서투른 사람들이 부산을 떨고 바쁘다. 현장을 완전히 이해하고 장악한 사람은 그 경륜과 기술만큼이나 무게와 힘이 있다. 어떤 어려운 상황이 닥쳐도 태산과 같이 움직이지 않는 신중함으로 대안을 찾아내고 위기를 겪어낸다. 산전수전(山戰水戰) 다 겪은 자만이 누릴 수 있는 여유가 느껴진다.
둘째 그는 자신의 칼날을 남에게 보이지 않는다. 병법에 대가 강태공(姜太公)은 ‘남과 다툴 때 번쩍거리는 칼을 쓴다면 훌륭한 장군은 아니다.(爭勝于白刃之口, 非良將也[쟁승우백인지구, 비랑장야])’라고 하였다. 하수들이나 싸울 때 번쩍거리는 칼을 들이대며 온 세상 사람들 모두 보란듯이 싸운다는 것이다. 진정 최고는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거나 뽐내지 않는다. 그렇기에 그의 능력은 더욱 빛나는 것이다.
셋째 고수는 사람들의 환호와 갈채에 연연하지 않는다. 자신의 갈 길을 자신이 직접 선택하는 소신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전쟁에서 이겼다고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칭찬한다면 최고 중의 최고는 아니다.(戰勝而天下曰善, 非善之善者也[전승이천하일선, 비선지선자야])’라는 손자병법의 메시지는 자신의 정한 원칙과 소신을 묵묵히 지켜나가는 고수의 자신감이 베어있다. 환호와 박수에 오염된 사람은 진정한 최고가 될 수 없다.
넷째 고수는 상식을 뛰어넘는 비범함이 있다. 손자병법은 ‘전쟁의 승리를 바라보는 예측이 일반 사람들의 인식 수준을 못 넘어선다면 최고 중의 최고는 아니다.(見勝不過衆人之所知, 非善之善者也[견승불과중인지소지, 비선지선자야])’라고 말한다. 승전의 장군은 자신이 이긴 방법을 일일이 병사들에게 설명해 줄 수 없다. 일반인들의 상식을 넘어서는 자신만의 안목이 있기 때문이다.
어느 분야든 최고가 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시간과 노력, 그리고 수많은 시행착오를 이겨낸 자만이 최고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여유와 무게, 겸손과 비범함은 자기 분야에서 최고가 된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권한이다.
기사입력: 2009/05/23 [19:02] 최종편집: ⓒ ntimes
※출처: http://ntimes.co.kr/sub_read.html?uid=16321§ion=sc5§ion2=오피니언
莊子 養生主篇(장자의 양생주편)에 나오는 말이다.
나는 만화를 잘 본다. 만화책을 보다가, 춘추전국시대의 전설적인 백정, 포정이란, 말이 나오길래,
과연, 만화책에 나오는 이름이, 실재 인물인가, 궁금중이 생겨 인터넷을 검색해 보았더니,
한자사전에 '포정해우'란 이름이 있었다.
블로그나 카페 등에 소개하고 있었는데, 게중에 위의 사이트의 글이 부드럽게 풀이되어 있어,올려 보았다.
한 분야에, 그것이 무엇이건, 천직으로 알고, 즐기며,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아름답다.
물론, 인내와 좌절 등이 고비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반드시 해내고야 말겠다는, 굳은 의지가 있으면, 반드시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다.
인간은, 누구나가 처음부터 못하는 것은 없다.
하지 않을 뿐이다.
하려고 시도해 보지 않기에 못하는 것이다.
나 역시, 처음에 귀신들이 몸에 들어왔을 때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몰랐다.
그러나, 열심히 마음을 다해, 집중하고, 때론 감성적으로, 때론 곰곰히 생각해 보던 중에,
귀신들과 교감이 되어, 그들이 원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도저히 대화가 안 되는, 막무가내식인 사악한 귀신들도 간혹 있긴 하지만, 대체로,
신불은 무엇인가?
인간은 왜 태어나는가?
왜 생로병사를 경험하는가?
지옥과 극락은 어떠한 것인가? 실재로 존재하는가?
부모와 자식은 어떻게 맺어진 것인가?
전생의 악업으로 태어나는가?
집착이란 무엇인가?
자비란 무엇인가?
사랑이란 무엇인가?
괴로움이 원인은 무엇인가?
육체란 무엇인가?
정신이란, 마음이란, 양심이란 무엇인가?
신이나 부처를 증명할 방법은 무엇인가?
귀신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귀신들도 희로애락을 느끼는가?
등등 모든 방면에 걸쳐서 생각하는 과정에, 이들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은, 수시로 마음이 생각이 바뀐다.
반면에,
이 귀신이라 불리는, 죽은 사람 혹은 동물의 경우, 지옥에 있을 경우,
오로지 한가지 자신들의 집착에 몰두하며, 그 집착을 해결해 주면, 알아서들 좋은 곳으로 간다.
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간의 마음으로 선과 악을 구별지어서는 안 됨 역시, 이 말은, 좀 심도가 깊은 뜻이다.
이 말을, 이해하는 사람은, 쉽다, 그러나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은, 어렵다.
내가 이것을 알아내는 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포정이란 백정은, 글에서 보이듯이, 소나 돼지를 잡을 때, 고통없이, 단 번에 잡은 듯 하다.
인간이건,
동물이건,
죽기 바로 직전이나 죽을 때의 고통은, 영혼 깊이 각인된다.
그 순간의 마음의 상태로, 원과 한이 생긴다. 반대로 집착을 모두 버리고 극락왕생한다.
.....................................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면, 인간은 최고로 행복한 것이다.
......
자야겠다.
'일기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 쓴 글이 날아갔다 (0) | 2011.07.23 |
---|---|
천구(天狗)의 마음 (0) | 2011.06.07 |
새로운 글을 풀이 중에...이것 저것 일기를 생각나는데로.... (0) | 2011.05.14 |
빙의[憑依]에서 자유로워지는 방법 (0) | 2011.05.13 |
요즈음은, 다카하시 신지님의 새로운 글을 찾을 수 없어서... (0) | 2011.05.13 |